한양도성은 서울의 역사를 증언하는 중요한 역사유적으로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었다. 특히 회현자락의 경우, 일제시대에는 조선신궁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높은 기단을 조성했던 당시의 지표 레벨은 지금이나 조선시대보다도 더 높았다.
‘기억의 발굴’은 이러한 대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함과 동시에 관람객들이 역사유적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편의시설이기도 하다. 9X9미터 그리드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기둥은 지표 레벨의 변화를 보여주는 ‘마커’이면서 벤치, 차양, 싸인 등을 부착하는 구조물의 역할도 한다.
황두진건축의 제출안은 2등으로 선정되었다.
One of the major historic structures in Seoul, the Seoul Fortress has been subject to many changes. The site in Hoehyeon ridge area is notable in that here stood the Chosen Jingu, the largest Japanese Shinto shrine in the Korean peninsula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Due to a high earth platform, the surface level then was much higher than during the Joseon period or now.
‘Memory Unearthed’ is the DJHA’s entry for the design competition to design a structure which documents and protect the history of the site and provides amenities for the visitors. A matrix of columns on a 9m by 9m grid are ‘markers’ to indicate different historic surface levels; they are also platforms to accommodate benches, canopies and signage.
DJHA was the runner-up of the compe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