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스톡홀름 동아시아박물관 한국실

Korean Gallery,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ies

황두진건축은 스웨덴 스톡홀름 소재 동아시아박물관의 한국실을 설계하였다. ‘특별한 친밀감'(Uniquely Intimate)란 주제 하에 한국과 스웨덴의 전통문화에 대한 교감을 바탕으로 진행한 설계였다. 

한국실의 기본적 배치는 해남 윤탁 고택으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일직선의 대칭형 배치를 지양하고 마치 한국의 건축과 정원을 산책하는 듯이 중첩과 관통, 전환 등을 유도하였다. 박물관 건물 자체가 스웨덴의 문화재임을 감안하여 목재 보를 그대로 노출했고 창호지를 통해 은은하게 들어오는 자연광과 천장의 간접인공광을 통해 조형성이 부드럽고 섬세한 한국의 유물을 감상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했다. 아울러 한국실이 관람 동선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점을 감안, 관객들을 위한 벤치를 마련하여 좌식생활의 눈높이에서 한국의 유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황두진건축은 설계 초기부터 동아시아박물관의 한국유물 전체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학예연구사들과 함께 주요한 전시작품의 선정에 참여했고 또한 이를 한국실의 설계에 반영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말기의 대표적 화가인 채용신의 작품인 남성 초상화가 한국실의 핵심적 전시물이 되었다. 초상화를 중심에 놓고 기타 유물을 배치함으로서 마치 한 개인의 공간을 방문하는 것 같은 경험을 통해 중국이나 일본과 다른 한국문화의 친밀하고 개인적인 측면을 드러내려 했다. 

한국 소나무와 재료적 느낌이 유사한 스웨덴산 가문비나무(spruce)가 바닥 등에 사용되었고 창에 바른 창호지는 한국에서 직접 수입했다. 한국실의 조성 과정에서 스웨덴의 장인들이 목공 디테일, 창호지 작업 등 한국 전통건축의 몇몇 기법을 습득하기도 했다.

 

DJHA designed the Korean Gallery at the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ies, Stockholm, Sweden. With the working theme ‘Uniqulely Intimate’, DJHA’s design responded to both Korean and Swedish cultural traditions.

The general layout of the Korean Gallery was inspired by the Yun Tak Residence in Haenam, Korea. Juxtaposition, penetration and transition were the key concepts in creating a nonlinear, asymmetrical space, analogous in spatial experience to traditional Korean villas and gardens. DJHA decided to expose the existing wooden beams, respecting the museum building’s historical monument status, and sought to create an ideal environment for enjoying the delicate and understated Korean artworks and artifacts by introducing filtered and reflected light coming from three windows covered with Korean mulberry paper and the ceiling above the beams. DJHA also placed a few built-in benches on which visitors can sit and look at the objects at the eye level of floor sit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DJHA worked with the museum curators in selecting major show pieces and incorporated them in the design accordingly. This is how a man’s portrait by Chae Yongshin, a famous painter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as chosen to be the center piece of the Korean Gallery. The rest of the exhibits was centered around this portrait, revealing the intimate and personal nature of the Korean culture. 

The major materials are Swedish spruce, similar in color and texture to Korean pine and Korean mulberry paper. The Swedish construction crew for project gained an experience in Korean craft techniques such as woodwork details and working with Korean mulberry paper. 

 

 

location : Stockholm, Sweden
year of completion : 2012
floor : 1F
area(m²) : 131.64
design team : n/a
partner : N/A
photograph : doojin hwang archit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