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법적인 대안에서 건축적인 해결책, 목수와의 파트너십 등을 통해, 한옥이 현대주거로 거듭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실제 집짓기 과정을 통해 부딪치게 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건축가의 실질적인 고민을 도면과 사진을 통해 들여다 볼 수 있다. 옛집에 대한 아련한 향수가 아니라 한옥의 개선과 진화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원하는 독자들을 위한 책이다.
목차
작가의 말
1. 우연한 시작 무무헌 중건기
특별한 부탁
한옥과의 인연
실측조사는 작업의 핵심
집속의 집
원형에 대한 존경
한옥에 대한 오해
집 짓는 과정
건축가 노트01
2. 한옥은 실패했다
자발적 양옥 전도사
이 많은 흙이 지붕으로?
좁아서 살 수가 없다?
생활이 불편하다?
천연재료의 신화?
기와집은 비싸다?
어느 실학자의 한옥 비판
한옥 사랑의 사회적 배경
보존이냐 개발이냐
새로운 정책과 그 효과
미국의 전통주택
3. 공간의 재구성 취죽당 중건기
계속되는 질문
관찰
공간의 재구성
든든한 파트너, 목수
토털 건축 한옥
집 짓는 과정
마무리와 조경
건축가 노트02
4. 음악에 악보가 있다면 건축에는 도면이 있다
한옥은 도면 없이 짓는다?
현장성과 시스템
도면과 악보
한옥 도면
무무헌 다시 그리기
실측도면
실시설계도면
5. 모듈과 스케일, 그리고 유형 쌍희재 중건기
건축의 기본
작지만 의젓한 집
기둥과 기둥 사이
양옥은 붕어빵, 한옥은 떡
사분합문, 삼분합문
흥례문의 비극
다시 쌍희재로
건축가 노트03
6. 한옥을 짓는 사람들
한옥은 목수가 짓는다?
이론적 건축가와 기능적 건축가
누가 한옥을 설계하는가
목수들의 이야기
문화재와 다른 살림집 짓기
7. 구축술과 공간의 집합
형식과 내용
두 채의 한옥?
무엇이 한옥인가
시각적 동질성과 구축술
이론의 단절
사라진 연결고리
한옥의 미래
8. 진화, 그 미약한 시작 가회헌 신축기
다시 북촌으로
제약 속 창작
시작에는 아픔이 있다
긴장과 조화
중첩된 경관
구축술의 차이
건축가 노트04
9. 한옥 실험의 다양한 가능성
생물다양성과 한옥
한 집, 두 개의 게임 최욱
한옥을 리-이노베이션하다 서승모
원형에 대한 호기심 황두진
전통은 신세대가 더 잘 읽는다
왜 한옥인가
낡은 것을 새롭게 보다
매크로한 문제, 마이크로한 접근
형태 없는 기술
한옥 팔아요
10. 공간의 분화와 확장 김태식ㆍ김연하가 중건기
한옥은 어떠세요
지하실이 있는 한옥
원스톱 서비스
한옥의 수직적 확장
건축가 노트05
11. 국민한옥을 위하여
한옥의 경쟁력 회복을 위하여
한옥의 보편화를 위한 제안
추천의 말
사진으로 보는 용어해설
더 읽을 만한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