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ojin Hwang Architects

youngchoo forum
689 .  관리자

제44회 영추포럼(110825) 후기: 건축가 양성구

2011 09 20
‘건축+∝’라는 대주제로 진행되고 있는 2011년 제44회 영추포럼은 건축가 양성구를 초대하여 대화의 장을 열었다. 양성구는 2009년 뉴욕 영 아키텍 어워드(2009 New York Young Architects Award)를 수상했고 보스턴과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또한 건축과 다른 예술 장르와의 교류를 활발하게 해오고 있기도 하다. 이날 그의 활동에 대해 관심이 있는 많은 사람들이 목련홀을 가득 채웠다.  

양성구를 만나기 전 강의개요를 보고 작업의 기반이 되는 에테르 쉽(ether ship)이라는 개념에 관심이 갔다. 에테르 쉽은 고대인들이 우주를 나는 날개 달린 배를 상상하며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그가 이 개념을 작업에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가에 눈길이 갔다. 기본적으로 건축은 구축을 통해 그 과정이 완결되는 것인데 에테르 쉽이라는 개념은 그가 말했듯이 ‘시작부터가 물질화되지 않는 상상’이다. 현실적인 구축과 이상적인 개념 사이에서 그가 어떻게 에테르 쉽의 노를 젓고 있는지 궁금했다.  

먼저 양성구는 어떻게 사회와 정치의 문제들을 받아들이며 장소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을 제안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그중에서도 사막 동물원과 새만금 관련프로젝트는 흥미로웠다.
사막의 동물원 제안에서 상상력이 상식을 벗어나 자유롭게 뻗어 나갈 수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동물을 가두는 기존의 동물원 개념이 아니라 사막에 동물들이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 동물들이 자유롭게 찾아와 만들어지는 환경친화적 동물원이었다.

양성구는 유네스코와 세계건축가협회 주관 국제공모전에서 새만금에 대한 제안을 통해 대상을 받은 적이 있다. 새만금은 자연환경 보전과 개발 사이에 정치적 문제가 개입된 사업이었다. 그는 여기에 대해 친환경적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주고 싶어 했다. 이미 막혀 있는 둑을 일정 간격으로 뚫어 물을 갯벌 안으로 유입시켜 갯벌을 살리면서 도시를 건설하는 절충안이었다. 대법원 최종 판결에서 새만금 사업 취소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현실 속에서는 구축될 수 없는 안타까운 프로젝트였다.

건물 자체의 독립적인 디자인을 보여주는 프로젝트들도 흥미로웠다. 패션지 보그를 위한 제안이나 물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보여준 패션디자이너 우영미를 위한 런웨이는 건축의 견고함을 패션이라는 장르에 다르게 적용해 자유로운 자세로 풀어 보여준 경우였다.

건축디자인비엔날레에서 전시했던 소쇄원의 광풍각 프로젝트에서는 시냇물, 대나무, 사람들이 내는 소리의 느낌을 끌어와 ‘대화’라는 주제로 풀어내 재미있게 공간을 탐험하는 자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건축가는 다른 예술가와는 달리 현상을 직관적인 감성과 구조화된 이성을 종합해서 보여준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하나의 도시가 어떻게 기능을 할까?’라는 주제는 그가 하버드 건축대학원에서 연구했던 주제와 맞닿는 부분이라고 한다. 도시가 커지면 밖으로 내 보낼 수밖에 없는 생산적인 공간을 어떻게 도시 중심으로 끌어 들여와 현실과 문제없이 어우러져 돌아갈 수 있는 공간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었다. 만약 생활하수 처리 공간이 도시 안에서 생산적인 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까지 접할 수 있게 해준다면 미래의 도시는 훨씬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이번 포럼을 통해 양성구가 상상 속의 계획안과 생각을 다양한 작업으로 연결해 의미를 얻고 있는 과정을 보았다. 현실과 이상은 언제나 맞물려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 현실은 이상을 바탕으로 변화될 수 있고, 이상은 현실화시킬 수 있을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참석자의 첫 번째 질문도 앞으로 그가 현실에서 어떻게 구축 세계를 펼칠지에 대한 것이었다. 황두진 소장은 포럼을 마치는 마지막 인사에서 건축가로서 ‘어떻게 대중이 아닌 동료를 감탄시킬 수 있는가?’를 강조하며 양성구에 대한 많은 기대를 드러냈다. 머지않은 미래에 건축가 양성구의 이상적인 생각들이 같은 건축가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젝트로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글 홍수영, 황두진건축 오피스큐레이터)
105 .  관리자

제47회 영추포럼-오피스박김(2012년 1월 12일 19:00)

2012 01 04

104 .  관리자

제46회 영추포럼(111216) 후기: 아이오와 주립대 건축학과 교수 지정우

2012 01 03

103 .  관리자

제46회 영추포럼-아이오와 주립대 건축학과 교수 지정우(2011년 12월 16일 ...

2011 11 15

102 .  관리자

제45회 영추포럼(111013) 후기: 네임리스(나은중 유소래 대표)+이광호 작가...

2011 10 20

101 .  관리자

제45회 영추포럼 - 네임리스 나은중 유소래 공동대표 (2011년 10월 13일 ...

2011 09 23

100 .  관리자

제44회 영추포럼(110825) 후기: 건축가 양성구

2011 09 20

99 .  관리자

제44회 영추포럼 - 건축가 양성구 (2011년 08월 25일 19:00)

2011 07 29

98 .  관리자

제43회 영추포럼(110609) 후기: 건축가 양수인

2011 06 27

97 .  관리자

제43회 영추포럼 - 건축가 양수인 (2011년 06월 09일 19:00)

2011 05 27

96 .  관리자

제42회 영추포럼(110414) 후기: 임진영 기자

2011 05 03

95 .  관리자

제42회 영추포럼 - 임진영 건축전문기자 (2011년 04월 14일 19:00)

2011 04 04

94 .  관리자

제41회 영추포럼(110217) 후기: 황지은 교수

2011 03 09

93 .  관리자

제41회 영추포럼(110217) 후기: 황지은 교수

2011 03 09

92 .  관리자

제41회 영추포럼 - 서울시립대학교 황지은 교수 (2011년 2월 17일 19:3...

2011 02 08

91 .  관리자

2011년 영추포럼 개요

2011 02 08

90 .  관리자

제40회 영추포럼(100616) 후기: 박태진 지속가능경영원장

2010 06 21

89 .  관리자

제40회 영추포럼 - 지속가능경영원 박태진 원장 (2010년 6월 16일 19:0...

2010 06 07

88 .  관리자

제39회 영추포럼 (100318) 후기: 김효은 외교통상부 기후변화팀장

2010 03 26

87 .  관리자

제39회 영추포럼 : 김효은 외교통상부 기후변화팀장 (2010년 3월18일 19:...

2010 03 03

86 .  관리자

제38회 영추포럼(090924) 후기: 박영목 변호사

2009 10 12

85 .  관리자

제37회 영추포럼(090625) 후기: 김성홍 교수

2009 07 17

84 .  관리자

제36회 영추포럼(090107) 후기: 김석영 전 Li & Fung 부사장

2009 01 09

83 .  관리자

제35회 영추포럼(080728) 후기: Kathryn Gustafson

2008 08 12

82 .  유승은

제35회 영추포럼 - 조경건축가 Kathryn Gustafson 특별강연

2008 07 24

81 .  

제 34회 영추포럼 (080328) 후기 : 이응진 변호사

2008 04 22

business online
password remember id
업무상 필요하신 분은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대표자이력서 대표자사진

 

youtube twitter

web designed by 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