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9회 영추포럼(160309) 후기: 건축가 김성우
현재 우리나라는 아파트 공화국이라 불린다. 그만큼 전체 주거의 60% 이상을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고, 현재도 신도시 프로젝트라는 사업 아래 많은 아파트가 지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필요로 하는 건축이 아파트라는 것일까? 이게 아니라면 지금 우리가 필요로 하는 건축은 무엇일까? 김성우 건축가는 이런 치기 어린 마음으로 사무소를 개소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런 고민을 했다는 것부터 필자는 그의 건축에 대한 진지함이 느껴졌다. 김성우 건축가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Housing’과 ‘Aging’에 주목하게 되었고,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소필지 거주 유형과 그 환경에 대한 리서치, 그리고 그것에 대한 도시적인 해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강연 중 가장 흥미가 있었던 부분은 쪽방촌 연구이다. 그는 리서치 과정에서 공용공간을 최대한 외부화 하고, 도시와 출입문이 바로 마주하고 있는 유형, 이것 외에 맞벽건축, 옆 건물을 통해 출입구까지 들어가는 쪽방 등 말도 안 되는 여러 가지 유형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학생 때 ‘건축가가 없는 건축물’이라는 주제로 리서치를 했던 경험이 있는데, 그 당시 조사했던 건물들도 이런 유형들이 많았다. 당시에는 ‘왜 이렇게 지어졌을까?’ 에 대한 의문점이 많았는데, 김성우 건축가의 리서치 내용은 당시 가졌던 의문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주거 유형들에는 도시 공간과 사적 공간까지의 전이 공간이 없었다는 그의 말에 필자는 크게 공감했고 아파트가 아닌 다른 거주 공간들(쪽방, 원룸, 다가구 등)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것을 건축적인 관점으로만 보지 않고, 돈의 퍼즐이라고 하는 경제적인 논리로도 바라보았다는 것이 새로웠다.
그는 이런 리서치 경험을 통해 사적거주영역과 도시 공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설계를 진행했다. 그가 설계한 중곡동 주거복합 프로젝트의 개별 거주공간의 집합적 구성, 도시와 사적영역의 전이공간으로서의 외부계단 등을 보았을 때 그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시와 주거와의 관계가 이 건축물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느껴졌다.
리서치로만 끝날 수 있었던 것을 자신의 설계에 반영한다는 것이 상당히 인상 깊었다. 이제 건축을 시작하는 필자도 김성우 건축가처럼 처음 관심을 가지고 고민했던 것들을 설계에 반영해 끝까지 이끌어 나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마지막에 또 강연하게 된다면 ‘주거복합 유형의 테스트베드’라는 주제를 이야기 하고 싶다고 한다. 과연 이 강연은 무슨 내용일지, 여기서는 어떤 고민이 담겨 있을지 기대가 된다.
글 황두진건축 박설희
- 105 . 관리자
-
<지진과 건축> 특별 세미나(2017년 12월 5일 19:00)
2017 11 28
- 104 . 관리자
-
제83회 영추포럼 건축가 조성룡(2017년 11월 9일 19:00)
2017 11 07
- 103 . 관리자
-
제82회 영추포럼 건축 평론가/도서출판 마티 편집장 박정현(2017년 9월 14일...
2017 08 25
- 102 . 관리자
-
제81회 영추포럼 리슨투더시티 박은선 디렉터(2017년 7월 13일 19:00)
2017 07 04
- 101 . 관리자
-
2017 07 04
- 100 . 관리자
-
제80회 영추포럼 코어건축사사무소 유종수, 김빈, 정다은(2017년 5월 11일 ...
2017 04 19
- 99 . 관리자
-
2017 04 18
- 98 . 관리자
-
제79회 영추포럼 건축가 김성우(2017년 3월 9일 19:00)
2017 02 24
- 97 . 관리자
-
2017 02 24
- 96 . 황두진
-
2017 01 09
- 95 . 황두진
-
2017 01 06
- 94 . 관리자
-
제77회 영추포럼 김미라 작가(2016년 11월 10일 18:00-19:30 밤의...
2016 11 03
- 93 . 관리자
-
제76회 영추포럼(160908) 후기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김시덕 교수
2016 11 01
- 92 . 관리자
-
제76회 영추포럼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김시덕 교수(2016년 9월 8일 ...
2016 08 26
- 91 . 관리자
-
제75회 영추포럼(160715)후기: 씨네21 기자 김혜리
2016 08 26
- 90 . 관리자
-
제75회 영추포럼 씨네21 기자 김혜리(2016년 7월 15일 18:00-20:0...
2016 06 21
- 89 . 관리자
-
제74회 영추포럼(160512)후기: 건축사진작가 김용관
2016 06 21
- 88 . 관리자
-
제74회 영추포럼 건축 사진 작가 김용관(2016년 5월 12일 18:00-20:...
2016 04 21
- 87 . 관리자
-
제73회 영추포럼(160310)후기: 영화평론가,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
2016 04 19
- 86 . 관리자
-
제73회 영추포럼 영화평론가 김성욱(2016년 3월 10일 19:00-21:00 ...
2016 02 19
- 85 . 관리자
-
2016 02 17
- 84 . 관리자
-
제72회 영추포럼 건축가 황두진(2016년 1월 14일 19:00-21:00 밤의...
2015 12 18
- 83 . 관리자
-
2016 영추포럼 <우리들의 유토피아: 밤의 도서관>에 '관찰자'를 모십니다.
2015 12 15
- 82 . 관리자
-
제71회 영추포럼(151113)후기: 부시크래프트 캠퍼 최종석
2015 12 07
- 81 . 관리자
-
제71회 영추포럼 부시크래프트 캠퍼 최종석(2015년 11월 13일 19:00)
2015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