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ojin Hwang Architects

youngchoo forum
763 .  관리자

제72회 영추포럼(160114)후기: 건축가 황두진

2016 02 17
2016년 영추포럼이 시작되었다.
<우리들의 유토피아, 밤의 도서관: 관찰자>라는 주제로 1년간의 긴 여정을 시작하였다.
그 첫 문은『무지개떡 건축-회색도시의 미래』의 저자인 건축가 황두진이 열었다. 나에게는 회사 대표이자 월급을 주시는 분이다. 그래서인지 한편으로는 불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편안한 자리였다.
주제에서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올해의 영추포럼 진행방식은 목련홀을 도서관으로 꾸미고 각자가 책을 들고 와서 2시간가량 책을 읽은 뒤 저자와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거기에 맥주 한 캔이라는 도서관 주인의 소소한 배려와 함께 포럼 막바지 강연자의 깜짝 공연도 있었다.

우선 이번 포럼에 대한 후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나의 상황을 알려드릴 필요가 있을 것 같아 몇 자 적어본다. 나는 수원에 거주하고 있으며 직장인 '목련원'까지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고 있다. 출퇴근 시간은 도보 및 대중교통 포함하여 편도 2시간, 왕복 4시간이 소요된다.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일주일에 20시간, 한 달(4주)에 80시간, 일 년(52주)에 1,040시간이다. 이를 다시 날짜로 환산하면 43일이다. 1년에 한 달 반을 길 위에서 허비?하고 있는 셈이다. '무지개떡 건축'에서 여러 번 언급되는 '직주근접'이 절실한 1인이다.

처음 분위기는 굉장히 숨 막혔다. 아무 이야기 없이 숨소리와 책장 넘기는 소리만 들리는 포럼의 분위기가 이전과는 너무나도 달랐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시간 뒤, 참가자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책의 내용에 대한 궁금증, 자신의 생각들을 하나 둘씩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스페인의 도시 이야기부터 쓰레기 분리수거함 이야기까지 대화의 주제의 범위가 굉장히 넓었고 매우 사소한 부분까지 다루어졌다.
건축가 황두진이 말하는 무지개떡 건축이란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 중층부에 사무실, 그 위에 옥상마당이 있는 주거시설로 구성된 건축물을 말한다. 이것을 '저밀도 도시'가 가진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법으로 제안하는 한편 직주근접에 최적화된 새로운 주거유형을 제안하고 있다. 직주근접에 대한 이야기는 책을 읽는 내내 나를 흥미롭게 하였고 또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자본의 관점으로 보면 '무지개떡 건축'에서의 주거유형은 '땅콩집'보다는 일반인들에게 거리감이 멀게 느껴지지만, ‘직주근접’은 일반인들을 충분히 관심 갖게 할 만한 요소임이 분명하다. 또한 공공이나 사회적 기업이 무지개떡 건축을 실현할 경우 개인도 아파트를 선택하듯이 다가갈 수 있는 건축 유형이다.
‘무지개떡 건축’이라는 건축적 제안이 도시 전체에 대한 해법은 아닐뿐더러 아직은 발전시켜야 할 부분도 많다고 그는 말한다. 무지개떡건축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건축물과 비교했을 때 실무적으로 매우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법규검토부터 시작하여 각종 배관들의 경로 해결, 서로 다른 기하학적 배열로 발생하는 구조문제 해결 등 책에서 말하는 '시루떡 건축'에서는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지개떡 건축을 도시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안하는 이유는 복합성에서 오는 시간적, 공간적 효율성 때문이다.

이번 포럼에서의 대화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무지개떡 건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었다. 앞으로 무지개떡 건축을 함께 발전시켜야 할 실무진 관점에서 고민해야 할 부분을 더 발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글 황두진건축 오명환 팀장
105 .  관리자

<지진과 건축> 특별 세미나(2017년 12월 5일 19:00)

2017 11 28

104 .  관리자

제83회 영추포럼 건축가 조성룡(2017년 11월 9일 19:00)

2017 11 07

103 .  관리자

제82회 영추포럼 건축 평론가/도서출판 마티 편집장 박정현(2017년 9월 14일...

2017 08 25

102 .  관리자

제81회 영추포럼 리슨투더시티 박은선 디렉터(2017년 7월 13일 19:00)

2017 07 04

101 .  관리자

제80회 영추포럼(170511)후기: 코어건축사사무소

2017 07 04

100 .  관리자

제80회 영추포럼 코어건축사사무소 유종수, 김빈, 정다은(2017년 5월 11일 ...

2017 04 19

99 .  관리자

제79회 영추포럼(160309) 후기: 건축가 김성우

2017 04 18

98 .  관리자

제79회 영추포럼 건축가 김성우(2017년 3월 9일 19:00)

2017 02 24

97 .  관리자

제78회 영추포럼(160119) 후기: 건축가 황두진

2017 02 24

96 .  황두진

2017 영추포럼 <한국 근현대 건축이라는 텍스트>

2017 01 09

95 .  황두진

제77회 영추포럼(161110) 후기: 김미라 작가

2017 01 06

94 .  관리자

제77회 영추포럼 김미라 작가(2016년 11월 10일 18:00-19:30 밤의...

2016 11 03

93 .  관리자

제76회 영추포럼(160908) 후기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김시덕 교수

2016 11 01

92 .  관리자

제76회 영추포럼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김시덕 교수(2016년 9월 8일 ...

2016 08 26

91 .  관리자

제75회 영추포럼(160715)후기: 씨네21 기자 김혜리

2016 08 26

90 .  관리자

제75회 영추포럼 씨네21 기자 김혜리(2016년 7월 15일 18:00-20:0...

2016 06 21

89 .  관리자

제74회 영추포럼(160512)후기: 건축사진작가 김용관

2016 06 21

88 .  관리자

제74회 영추포럼 건축 사진 작가 김용관(2016년 5월 12일 18:00-20:...

2016 04 21

87 .  관리자

제73회 영추포럼(160310)후기: 영화평론가,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

2016 04 19

86 .  관리자

제73회 영추포럼 영화평론가 김성욱(2016년 3월 10일 19:00-21:00 ...

2016 02 19

85 .  관리자

제72회 영추포럼(160114)후기: 건축가 황두진

2016 02 17

84 .  관리자

제72회 영추포럼 건축가 황두진(2016년 1월 14일 19:00-21:00 밤의...

2015 12 18

83 .  관리자

2016 영추포럼 <우리들의 유토피아: 밤의 도서관>에 '관찰자'를 모십니다.

2015 12 15

82 .  관리자

제71회 영추포럼(151113)후기: 부시크래프트 캠퍼 최종석

2015 12 07

81 .  관리자

제71회 영추포럼 부시크래프트 캠퍼 최종석(2015년 11월 13일 19:00)

2015 10 19

business online
password remember id
업무상 필요하신 분은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대표자이력서 대표자사진

 

youtube twitter

web designed by log